사이트정보

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

통합검색 검색 폼

게시물 (194건)

수사 증 형조 판서 이공 행장〔水使贈刑曹判書李公行狀〕 : 강재집 제12권
수사 증 형조 판서 이공 행장〔水使贈刑曹判書李公行狀〕 : 강재집 제12권 / 행장(行狀) - 송치규(宋穉圭, 1759~1838) 공의 휘는 지효(止孝), 자는 중순(仲純)이다. 이씨는 선계가 함평(咸平)에서 나왔으며 고려의 신호위대장군(神虎衛大將軍) 휘 언(彦)이 시조이다. 대대로 벼슬아치가 이어졌으며 절의로 저명하였다. 고조
장세방(張世方)ㆍ정만의(鄭萬儀) 등이 토주를 모함하다(1766) - 보첩고(報牒攷)
2월 26일 창평(昌平) 장세방(張世方)ㆍ정만의(鄭萬儀) 등이 토주(土主 고을의 수령)를 모함하여 거짓말로 의송(議送)을 바친 일을 조사하여 보고하다 - 보첩고(報牒攷) ○영조(英祖) / 영조(英祖) 42년(1766) 첩보(牒報)하는 일. 방금 전에 도착한 창평현(昌平縣)의 이문(移文 공문(公文)을 보내 조회함. 또는 그 문건)에,
정단(正壇) 32인 - 홍재전서 제60권
정단(正壇) 32인 - 홍재전서 제60권 / 잡저(雜著) 7 : 정조대왕(正祖大王, 1752~1800) 사판(祠版)에는 ‘충신지신(忠臣之神)’이라고 쓰고, 제사의 의식은 축문이 있으며 - 축문은 본릉의 한식절 수향(受香) 때 같이 싸 가지고 감 -, 제품(祭品)은 밥 한 주발, 소탕(素湯) 한 대접, 나물과 과일 각 한 소반, 술 한 잔이고, 제
비국이 광주 진사 이창우의 농서에 관하여 회계한 것에 대한 판부 - 홍재전서 제47권
비국備局이 광주(光州) 진사 이창우(李昌)의 농서에 관하여 회계한 것에 대한 판부 - 홍재전서 제47권 : 정조대왕(正祖大王, 1752~1800) 아뢴 대로 윤허를 한다. 매우 좋은 말이다. 한 말이 모두 보기 드물 정도로 핵심을 찌르고 있다. 이(李) 유생의 유식함에 대해서는 이미 작년의 대책(對策)에서 알고 있었다. 종자가 있
대사간 증 이조판서 고봉(高峯) 기 선생(奇先生)의 시장 - 택당선생 별집 제10권
대사간 증 이조판서 고봉(高峯) 기 선생(奇先生, 기대승)의 시장 - 택당선생 별집 제10권  : 택당(澤堂) 이식(李植 1584~1647)공의 휘(諱)는 대승(大升)이요, 자(字)는 명언(明彦)이다. 세상에서는 고봉 선생(高峯先生)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혹은 존재(存齋)라고 일컫기도 한다.기씨(奇氏)는 본래 행주(幸州)에서 나왔
남원(南原) 정충사(貞忠祠)의 비문 - 청음집 제29권
남원(南原) 정충사(貞忠祠)의 비문 - 청음집 제29권 : 청음 김상헌(金尙憲, 1570~1652)만력(萬曆) 계사년(1593, 선조26)에 왕사(王師)가 왜병들을 바닷가에서 크게 무찔러 왜적들의 수괴인 풍신수길(豊臣秀吉)이 깊이 원망하였다. 그해 6월에 자신의 장수인 가등청정(加藤淸正)으로 하여금 정예병을 모두 거느리고 진주성(晉
재조번방지 2(再造藩邦志 二) - 화은(華隱) 신경(申炅1623~1653)
재조번방지 2(再造藩邦志 二) - 화은(華隱) 신경(申炅1623~1653) 이때에 각 도의 군사들이 여기저기에서 벌떼처럼 일어났다. 경기도에서는 본도 감사인 심대(沈岱)ㆍ전 사간 우성전(禹性傳)ㆍ전 정언 정숙하(鄭淑夏)ㆍ수원인(水原人) 최흘(崔屹)ㆍ고양인(高陽人) 이노(李魯)와 이산휘(李山輝)ㆍ전 목사 남언경(南彦經)ㆍ유학
무등산(無等山) - 임하필기 제13권
무등산(無等山) - 임하필기 제13권 / 문헌지장편(文獻指掌編) : 귤산(橘山) 이유원(李裕元 1814~1888) 광주(光州)의 동쪽 10리에 무등산이 있는데 백여 리의 지역을 걸터타고 앉아 있다. 산 위에는 수십 개의 돌기둥이 서 있는데 마치 사람이 일부러 깎아서 세운 듯하며 높이가 거의 백 척이나 되고 모두 여섯 개의 모
무등산곡(無等山曲) - 백제의 음악
무등산곡(無等山曲) - 백제의 음악, 임하필기 제12권 / 문헌지장편(文獻指掌編) : 귤산(橘山) 이유원(李裕元 1814~1888) 지리산가(智異山歌)는, 구례(求禮) 고을 사람의 딸이 지리산 밑에 살고 있었는데 그 자색이 아름답고 여자로서의 도리를 다하였으므로 임금이 그 여자가 이처럼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는 궁중으로
김천일(金千鎰)ㆍ양산숙(梁山璹) - 연려실기술 제16권
김천일(金千鎰)ㆍ양산숙(梁山璹) - 연려실기술 제16권 / 선조조 고사본말(宣祖朝故事本末) 전라 우도의 의병장 김천일이 군사를 일으켜 적을 토벌하였다.○ 천일은, 자는 사중(士重)이요, 본관은 광주(光州)이다. 나주(羅州)로 이사하여 두 대[二代]째이다.이항(李恒)에게 배웠다. 은일로 천거를 받아 대간이 되었는데, 그는
양곡 오공(오두인) 신도비명(陽谷吳公神道碑銘) - 여한십가문초 제5권
양곡 오공(오두인) 신도비명(陽谷吳公神道碑銘) - 여한십가문초 제5권, 왕성순(王性淳) 집(輯) ○ 이기소(李箕紹) 참정(參訂) ○ 공성학(孔聖學) 참정(參訂) / 한 농암 김창협(1651~1708) 문[韓金農巖文] [주-C001] 김창협(金昌協) : 자는 중화(仲和), 호는 농암(農巖), 안동인(安東人)이다. 숙종 임술년(1682) 문
최신(崔愼)의 기록- 송자대전 부록 제18권
최신(崔愼)의 기록 - 하, 송자대전 부록 제18권 / 어록(語錄) 5 : 우암(尤菴) 송시열(宋時烈 1607~1689)[신] 세속(世俗)에 전하기로는, 김덕령(金德齡)은 용력(勇力)이 있는 외에도 신이(神異)한 일화가 많았습니다. 이를테면 두 겨드랑이에 날개가 있었다는 말과 수감(收監)되었을 적에 고문을 무수히 당했으나 살갗이
이 지평(李持平)의 묘갈명(墓碣銘) - 기언 별집 제22권 / 구묘문(丘墓文)
이 지평(李持平)의 묘갈명(墓碣銘) - 기언 별집 제22권 / 구묘문(丘墓文) : 미수(眉叟) 허목(許穆, 1595~)공은 휘(諱)는 완(梡)이요, 자(字)는 자완(子完)이며, 성은 이씨이다. 그 선대는 연안(延安) 사람으로, 고려 때 태자 첨사(太子詹事) 이습홍(李襲洪)의 후예이다. 6대에 도관찰사(都觀察使) 이귀산(李貴山)이 있고,
석서정기(石犀亭記) - 목은문고 제5권
석서정기(石犀亭記) - 목은문고 제5권 : 목은(牧隱) 이색(李穡, 1328~1396)광주(光州)의 지세(地勢)를 보면, 삼면이 모두 큰 산으로 둘러싸인 가운데 오직 북쪽만이 평탄하게 멀리 터져 있다. 그리고 남산(南山)의 계곡에서 두 개의 물줄기가 흘러나오는데, 그 물의 근원이 또 멀기만 하다. 따라서 이 두 개의 물줄기가 합류
광주 진사 박논 등의 상소[甲戌十月光州進士朴碖等上疏] - 기축록 속(己丑錄續)
갑술년 10월 광주 진사 박논 등의 상소[甲戌十月光州進士朴碖等上疏]  - 기축록 속(己丑錄續)  : 《기축록》에 이어 효종 8년 정유(丁酉 1657)로부터 숙종 28년(1702)까지 45년간에 일어났던 정개청(鄭介淸)의 서원 철훼를 두고 동서(東西) 양파간의 싸움을 기록한 일기이다. 이 일기를 쓴 사람은 누구인지는 알
광주향교(光州鄕校) 중수기(重修記) - 고봉집 제2권
광주향교(光州鄕校) 중수기(重修記) - 고봉집 제2권 : 기대승(奇大升, 1527~1572). 자는 명언(明彦), 호는 고봉(高峯)ㆍ존재(存齋)이며, 본관은 행주(幸州)이고, 시호는 문헌(文憲)이다.아, 도(道)가 상실된 지 오래되었다. 삼대(三代) 말엽 이후에도 오히려 성인(聖人)의 세대가 이미 멀어지고 훌륭한 교훈이 매몰되었
삼매당기(三梅堂記) - 계곡선생집 제8권
*계곡(谿谷) 장유(張維 1587~1638)의 시문집 <계곡집> 제8권 / 기(記)광주(光州)는 호남 지방의 이름난 고을로써 서석산(瑞石山)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. 계산(溪山)과 임천(林泉)의 승경(勝景)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토지가 비옥하여 백성의 생활이 넉넉한 편이다. 그런 가운데 대사(臺榭)와 원유(園囿)가 또한 많아 서
정홍명의 기옹만필畸翁漫筆
송강 정철의 넷째아들 기암 정홍명의 <기옹만필畸翁漫筆> 鄭弘溟著 ●율곡 선생이 화담(花潭.서경덕)의 학문에 대해 말할 때에는, “기(氣)를 이(理)로 아는 병폐가 좀 있다.” 하고, 《대학》소주(小註) 중 진북계(陳北溪.송나라 학자)의 설명에 대해 반박하여 말하기를,“이(理)와 기(氣)는 원래 서로 떨어지지 않은 것
석문집(石門集)
오이익(1618~1666)의 석문집(石門集)은  5권 2책으로 되어 있다. 卷首에 李景在가 지은 序와 목록이 있다. 序(李景在 撰), 跋(金炳學ㆍ奇正鎭ㆍ高時鴻ㆍ吳駿善 撰), 刊記, 吳恒圭行錄(吳駿善 撰, 後石遺稿 卷21) 등이다. 7대손 吳恒圭(1824~1872)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하여 刪定 編次하고 李景在의 서문을 받고는
박광후 朴光後
안촌(安村) 박광후(朴光後, 1637(인조 15)∼1678년숙종 4)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천(順天). 자는 사술(士述), 호는 안촌(安村)이다.조부는 진사(進士) 칠졸재(七拙齋) 박창우(朴昌禹)이고, 부친은 충의위(忠義衛) 박천용(朴天用)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. 모친은 남씨(南氏)이고 부인은 홍씨(洪氏)이다. 광산
  • 광주광역시
  • 한국학호남진흥원
  • 사이버광주읍성
  • 광주서구청
  • 광주동구청
  • 광주남구청
  • 광주북구청
  • 광주광산구청
  • 전남대학교
  • 조선대학교
  • 호남대학교
  • 광주대학교
  • 광주여자대학교
  • 남부대학교
  • 송원대학교
  • 동신대학교
  • 문화체육관광부
  • 한국문화예술위원회
  •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
  • 국립아시아문화전당
  • 광주문화예술회관
  • 광주비엔날레
  • 광주시립미술관
  • 광주문화재단
  • 광주국립박물관
  • 광주시립민속박물관
  • 국민권익위원회
  • 국세청